검색 엔진은 인터넷 이용의 중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해당 검색어와 관련된 웹사이트를 찾아주는 기능을 합니다. 이러한 검색 엔진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더욱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비즈니스 분야에서도 검색 엔진을 이용한 마케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검색 엔진의 점유율은 인터넷 이용 패턴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이죠. 각 나라별 검색 엔진의 점유율을 분석하면 해당 나라의 인터넷 이용 패턴과 사용자들의 검색 관심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검색 엔진 최적화(SEO) 전략을 세우거나, 검색 광고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색 엔진이 사용하는 알고리즘의 특징을 파악하면 해당 나라에서의 검색 엔진 마케팅 전략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statcounter의 자료에 따른 전 세계를 포함한 미국, 인도, 영국,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 각 나라별 검색엔진 점유율과 순위와 변화를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글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출처가 아닌, statcounter의 데이터에 따라서 작성하였으며, 만약 다른 통계자료를 확인한다면 데이터의 수치는 상이할 수 있음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자료는 2021년 1분기 ~ 2023년 1분기, 최근 2년 점유율 변화를 분기별로 표기한 통계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본인의 제품을 국내시장뿐만이 아니라 세계시장으로 넓혀서 마케팅을 하시고자 하는 분들 혹은 블로그를 작성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전 세계와 아시아]
1. 전세계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
가장 먼저 전 세계 시장 점유율입니다. statcounter의 검색 엔진 시장 점유율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1분기 구글은 전 세계 검색엔진 시장에서 93.2%에 달하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빙으로 2.9%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그다음으로는 야후가 3위를 기록하며 과거의 강자의 모습을 나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검색엔진 점유율 TOP 3: 구글 (93.2%) > 빙 (2.9%) > 야후 (1.1%)
2. 아시아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
이번엔 아시아지역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입니다. statcounter의 데이터에 따르면, 역시나 압도적인 1위는 구글, 2위는 빙을 기록하였으며, 3위로는 Yandex가 기록하였습니다.
아시아 검색엔진 점유율 TOP 3: 구글 (94%) > 빙 (1.5%) > Yandex (1.2%)
이제부턴 각 나라별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량을 확인하겠습니다.
[미국과 영국]
3. 미국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
이제부턴 수치의 변동이 조금씩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윗 자료는 미국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입니다.
1위는 88.7%를 기록한 구글이 차지하였으며, 2위는 빙 6.6%, 3위는 야후 2.4%를 기록하였습니다.
미국 검색엔진 점유율 TOP 3: 구글 (88.7%) > 빙 (6.6%) > 야후 (2.4%)
4. 영국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
이번엔 영국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입니다. 앞서 확인한 미국의 점유율과 비슷한 흐름을 보이는 듯합니다.
1위는 93.4%를 기록한 구글이 차지하였으며, 2위는 빙, 3위는 야후가 차지하였습니다. 순위는 미국과 동일하네요.
영국 검색엔진 점유율 TOP 3: 구글 (93.4%) > 빙 (4.1%) > 야후 (1.5%)
[아시아 지역: 인도, 중국, 일본, 한국]
5. 인도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
오늘 나라별 데이터 자료 중 가장 강력한 점유율, 독점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여줍니다.
바로 구글입니다. 구글은 인도 검색엔진 시장에서 98.5%라는 놀라운 점유율로 1위를 기록하였으며, 2위는 빙 1%를 기록하였습니다. 나머지 점유율은 의미가 없기에 생략하겠습니다.
인도 검색엔진 점유율 TOP 2: 구글 98.5% >>> 빙 1%
6. 중국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
처음으로 구글이 순위권에 못 드는 점유율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가장 극변 하는 변화를 보여줘서 흥미롭습니다.
바이두는 중국 검색엔진 시장에서 1위, 빙은 2위, sogou는 3위의 점유율을 차지하였습니다.
윗 데이터에 따르면, 바이두는 한때 90% 가까이 독점에 가까운 점유율을 자랑했으나 점차 하락하여 23년도 1분기에만 49%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이 와중 불과 2년 전만 하더라도 순위권에 들지 못했던 빙이 점유율을 급격하게 올려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23년도 1분기에 15%를 기록하였습니다. 반면, Sogou는 한 때 20%에 육박하던 점유율을 기록했었으나 빙의 역습으로 12.7%를 기록하며 3위에 만족하여야 했습니다.
중국 검색엔진 점유율 TOP 3: 바이두 (49%) > 빙 (15%) > Sogou (12.7%)
7. 일본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
일본은 역시 구글이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흥미로운 점은 야후가 꽤 높은 점유율을 보여주며 2위를 기록하였습니다. 3위는 최근 떠오르는 검색엔진 빙이 차지하였습니다.
일본 검색엔진 점유율 TOP 3: 구글 (77%) > 야후 (14.4%) > 빙 (7.5%)
다음은 오늘의 클라이맥스, 대한민국 점유율입니다.
[대한민국]
8. 한국 검색엔진 점유율 변화
대망의 대한한국의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입니다.
1위는 구글로 한때 80%를 넘기며 질주하였으나 다시 하락추세로 돌아서고 있습니다. 2위는 역시 네이버로 과거 영광에 비하면 위상이 많이 낮아지긴 했지만, 다시 상승 추세를 보이며 23년 1분기 35.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위는 빙으로 2.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 시장에서만 예외적으로 순위권을 넓혀서 보면 4위는 다음으로 1.1%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검색엔진 점유율 TOP 4: 구글 (58.5%) > 네이버 (35.8%) > 빙 (2.8%) > 다음 (1.1%)
결론
영미권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에선 구글이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는 빙(Bing)이 2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권에서도 대체로 구글이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나라별로 독특한 특징등을 보이고 있습니다. 먼저 인도의 경우에는 구글이 오늘 살펴본 모든 나라 중에서 가장 큰 영향력, 아니 순수 독점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향후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나라는 중국과 한국입니다. 중국의 경우는 구글 자체가 원천 차단되어 있기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름 5위의 점유율 차지하고 있어서 재밌습니다.) 바이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었지만, 빙이 점유율을 급격하게 확장하며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몇 년 안에 순위권 변화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한국에선 전통 강자였던 네이버가 약세를 보이며 1위를 구글에게 뺏겼지만 여전히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다시 점유율을 회복하고 있습니다. 다음(Daum)의 경우에는 순위권엔 들지 못했지만 그래도 나름 4위의 점유율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의 점유율 순위 흐름을 통해 본인의 마케팅의 범위나 블로그 글을 국내시장뿐만이 아니라 세계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확장하고 싶은 나라가 있다면, 그 나라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검색엔진을 활용하고, SEO 연관 툴을 접목하여 글을 작성하시거나, 이미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에 그 나라의 언어로 추가로 번역하고 글을 포스팅하시는 방식으로 본인의 글을 노출시키는 전략을 세우셔서 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시사 > 경제ㆍ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의 유망한 커피산업, 해상물류 요충지 커피도시 부산 (feat. 스타벅스,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이디야 영업이익률) (71) | 2023.04.26 |
---|---|
주식시장의 영웅 & 타짜,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 대전 (feat. 아르헨티나 디폴트, 삼성물산, 삼성전자, 현대차) (38) | 2023.04.25 |
중국 GDP와 산업구조, 그리고 에너지 전환을 위한 친환경 (feat.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22) | 2023.04.23 |
대한민국 치킨 전쟁: 교촌치킨, BBQ, BHC의 실적상승과 1위 다툼 (feat. 교촌치킨 가격인상, 영업이익률) (45) | 2023.04.22 |
현대카드ㆍ애플페이 동맹군, 삼성페이의 한국시장 점유율을 획득할 수 있는가? (feat. 애플페이사용처, 수수료) (28) | 2023.04.21 |